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Ajax
- input
- 정처기 실기
- EAI
- esb
- 트리거
- 모듈화
- 동기
- 비동기
- 워크스루
- 자바스크립트
- SSL/TLS
- 서버
- 브레인스토밍
- 정보처리기사 실기
- S-HTTP
- 프로시저
- 형상관리
- javascript
- 키보드 이벤트
- 정보처리기사
- 리눅스
- 라디오 버튼
- 인터페이스
- rest
- 모듈
- 소프트웨어
- 정처기
- 인스펙션
- 델파이 기법
- Today
- Total
목록트리거 (2)
방구석 상상코딩
절차형 SQL 1. 프로시저 (Procedure) 일련의 쿼리들을 마치 하나의 함수처럼 실행하기 위한 쿼리의 집합 CREATE [OR REPLACE] PROCEDURE 프로시저_명 (파라미터_명 [IN | OUT | INOUT] 데이터_타입, ...) IS 변수선언 BEGIN# 프로시저의 시작 명령어; [COMMIT | ROLLBACK] END;# 프로시저의 끝 # OR REPLACE : 기존 프로시저 존재 시에 현재 컴파일하는 내용으로 덮어씀 # IN : 운영체제에서 프로시저로 값을 전달하는 모드 # OUT : 프로시저에서 처리된 결과를 운영체제로 전달하는 모드 # INOUT : IN과 OUT의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모드 # COMMIT : 하나의 트랜젝션이 성공적으로 끝나고, 데이터베이스가 ..
사전에 정의된 기능에 대한 구체적 분석 1. 송신 측에서 필요한 대상을 선택하여 수신 측에 데이터 전송 대상자 선택 : DB에 저장된 인사 정보를 SQL로 선택하여 인터페이스 대상을 확인 인터페이스 데이터 생성 : Json 또는 인터페이스 테이블 형식에 맞게 DB에 있는 정보 가공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 요청 :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생성 후 해당 데이터를 https에서 인터페이스 또는 수신 측으로 전송 요청 2. 필요 항목에 대해서 데이터 전달 인터페이스 데이터 전송 : 수신지 주소에 REST 방식으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DB 커넥션을 이용하여 DB 프로시저, 트리거 등을 활용하여 전송 인터페이스 데이터 수신 :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한 후 데이터의 형식이 맞는지 점검, 각 규칙을 사전에 정의하고 이를..